본문 바로가기
주거·청약·보증금

2025 서울 신혼부부 장기전세 ‘미리내집’ 149호 모집 총정리|반값 보증금 · 20년 주거 보장!

 

 

 

“우리도 집 걱정 안 하고 아이 키울 수 있다면?”

결혼 얘기를 하면 친구들이 가장 먼저 묻는 질문 중 하나가 “집은 어떻게 할 거야?”예요.
서울에서 집은 사거나 전세를 들어도, 그 보증금만 수천만 원이죠.
그런데 서울시가 '미리내집'이라는 이름으로, 신혼부부에게 보증금 절반 수준의 장기전세주택을 공급한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
핵심 한 방 요약

  • 아파트 반값 보증금: 시세 대비 약 50% 수준
  • 149가구 신규 공급: 문정동 등 서울 전역 7곳
  • 최대 20년 거주 보장: 자녀 출산 시 장기전세 우선 입주 기회까지
  • 프리패키지 주거 환경: 역세권, 빌트인 가전, 커뮤니티 시설까지 포함


공급 세부 내용 (표로 한눈에)

지역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공급 호수      평형 (㎡)              주택 형태

 

문정동 (송파) 16 42~49 오피스텔 (르피에드, 역세권+커뮤니티)
당산동 (영등포) 11 41 도시형 생활주택 (비아파트형)
중곡동 (광진) 23 46~48 다세대주택 (고밀형)
상도동 (동작) 10 47~53 도시형 생활주택
상봉동 (중랑) 53 50~70 다세대/도시형 복합
우이동 (강북) 30 44~54 도시형 생활주택
화곡동 (강서) 6 47 도시형 생활주택 (민간혼합 포함)

주거 설계 포인트

  • 역세권 입지: 문정역 도보 6분, 지하 연결 통로까지!
  • 커뮤니티 시설 포함: 피트니스룸, 수영장, 루프탑 등
  • 빌트인 가전 풀옵션: 인덕션, 냉장고, 에어컨, 세탁기 기본 탑재
  • 육아 지원 주거 사다리: 2자녀 출산 시 매수청구권까지 제공


신청 일정 미리 확인하기

  • 모집공고: 2025년 8월 29일
  • 사전주택 공개: 9월 15일~17일 (현장 방문 가능)
  • 청약신청 접수: 9월 17일~19일
  • 서류 심사 대상자 발표: 9월 23일
  • 입주자격 검증: 10월~12월
  • 입주대상 발표: 2026년 1월 7일
  • 입주 예정 시점: 2026년 2월~4월
신청은 9월 17일부터 SH 청약센터에서 온라인 접수가 가능합니다. 👉 SH 청약센터 바로가기

 


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?

  •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예비 신혼부부
  • 부부 모두 공고일 기준 5년 이내 주택 소유 이력 없는 무주택자
  • 서울시에 거주하거나 서울시에 직장이 있는 자
  • 중위소득 기준 충족 시 우선권 부여 (자세한 기준은 공고 확인 필수)


생활 밀착 꿀팁

    • 커플 데이트 삼아 사전 주택 공개 방문 추천! 분위기 체험과 청약 정보 얻기 한 번에.
    • 신혼가전, 이삿짐 걱정 덜 수 있어요: 이미 빌트인이라 이사 준비 부담 확 줄일 수 있습니다.
    • 육아 계획 있다면 장

함께 보면 좋은 글

 

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|가임력 검사비 최대 3회 지원받는 방법

임신 준비,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면?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으로 남녀 모두 가임력 검사를 받을 수 있다. 20~49세라면 최대 3회 검사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조건과 신청 방법을 알

info.onenestory.com

 

디딤돌 대출 신청방법|자격·금리·한도·탈락사례·꿀팁 총정리

2025년 디딤돌 대출은 무주택 서민과 신혼부부,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게 내 집 마련 기회를 주는 대표 대출상품이다. 자격조건, 금리, 한도, 우대금리 꿀팁, 탈락사례와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

info.onenestory.com

 

공유형 모기지 융자란?|수익공유형·손익공유형 차이, 자격조건·금리·장단점 총정리

공유형 모기지 융자는 주택도시기금과 함께 주택 가격 변동의 이익과 위험을 나누는 새로운 형태의 대출상품이다. 수익공유형과 손익공유형의 차이, 자격조건, 금리, 장단점, 신청 방법까지 한

info.onenestory.com

 

명절·추석 선물비 절약|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으로 20% 아끼는 법

추석이 다가오면 가장 큰 고민 중 하나가 바로 ‘선물비와 장보기 예산’이죠. 부모님 선물, 아이들 용돈, 친척들과의 식사 준비까지 생각하면 지갑이 얇아지는 건 순식간입니다. 하지만 올해는

info.onenestory.com